오는 2일 ‘M클래식축제’ 내한 공연
‘인간의 한계’ 넘는 바흐 사이다토토 기대
“박물관 속 사이다토토 아냐…생동감 넘쳐”
![5명의 멤버로 출발한 벨기에 고사이다토토 앙상블 일 가르델리노는 현재, 얀 드 뷔네와 마르세 퐁셀 등 9명의 핵심 멤버를 중심으로 최대 25명까지 확장됐다. 영국 그라모폰은 “노련하고 품위 있는 연주자들. 마르셀 퐁셀과 얀 더 위너는 실망시키는 법이 없다”고 평한다. [일 가르델리노 SNS]](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5d52e85ef3cd475a988018560566c306_P1.jpg)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현대식 악기가 세련된 ‘차도남, 차도녀’라면, 바로크 악기는 ‘따도남, 따도녀’다. 술로 치자면 전자는 ‘청주’, 후자는 ‘탁주’라고 첼리스트 양성원은 말한다. 그래서 바로크 악기로 만드는 앙상블은 정교하고 화려한 파인다이닝이라기 보다, 소박하게 차려낸 어머니의 집밥 같다.
벨기에의 바로크 사이다토토 앙상블 일 가르델리노(Il Gardellino)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 김은식도 “유기농이랄까. 자극적이지 않고 담백하며 순수한 자연에 가까운 소리”라고 바로크 사이다토토을 소개한다.
고사이다토토 단체 일 가르델리노가 한국 관객과 만난다. 올해로 10회를 맞는 마포문화재단의 ‘M클래식축제’(10월 2일, 마포아트센터)를 통해서다. 내한 공연은 2011년, 2018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일 가르델리노는 1988년 마르셀 퐁셀(오보에), 얀 드 비네(트라베르소)를 중심으로 창단된 고사이다토토 앙상블이다. 비발디의 플루트 협주곡 RV428의 제목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곡이 퀸텟(플루트, 오보에, 바이올린, 바순, 바소 콘티누오)으로 출발한 일 가르델리노의 첫 레퍼토리였다.
얀 드 비네는 헤럴드경제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다채롭고 자연을 닮은 소리를 앙상블의 정신으로 삼고 싶었다”며 “이름은 그 곡에서 직접 가져온 것이지만, 바로크 사이다토토의 자유로움과 유희적 특징을 담고 싶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했다. 이번 공연엔 원년 멤버인 트라베르소의 얀 드 비네를 중심으로 바로크 바이올린의 김은식, 바로크 첼로의 코지 타카하시, 쳄발로의 로렌조 기엘미 등이 함께 한다.
바흐로 ‘인간의 한계’ 넘는 감동 만나게 될 것
지금까지 알던 바흐(1685~1750)는 바흐가 아니다. 무수히 많은 바흐가 있었지만, 일 가르델리노의 바흐는 다르다. 앙상블 자체가 바흐를 중심으로 뭉쳐 바흐의 정신을 바탕으로 시대와 사이다토토을 재조명하는 게 목표이다 보니 전과 다른 바흐를 관객들에게 선사한다. ‘바로크 사이다토토’을 상징하며, 바로크 시대의 문을 닫은 바흐를 다시 듣는 무대가 바로 ‘일 가르델리노’다.
로렌조 기엘미는 “청중들이 바흐 사이다토토에 숨겨진 모든 상징을 모두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늘 의식하고 있다”며 “바흐의 사이다토토엔 수많은 층위가 존재해 모든 역사를 깊이 알 필요는 없지만, 연주자로서 우린 그 감정과 아름다움을 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한국 공연에서 연주할 곡은 바흐의 ‘사이다토토의 헌정’.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가 바흐에게 준 하나의 주제가 무수히 많은 형태로 변주되는 곡이다. 바흐는 이 곡을 작곡해 왕에게 헌정했다.
기엘미는 “가장 자주 쓰이는 방식은 카논”이라며 “동일한 선율을 여러 연주자가 시간차를 두고 연주한다. 같은 멜로디라도 겹칠 때는 새로운 화성이 만들어진다”고 했다. 선율을 그대로 연주하기도 하고, 그것을 역행으로 연주하거나 템포의 차이를 두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한다. 이 과정에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초월적 능력을 체험하는 듯한 감동을 만날 수 있다”고 멤버들은 입을 모은다.
김은식은 “(이 곡은) 대위법의 완성을 보여준 바흐 만년의 걸작”이라며 “구조적으로 완벽한 질서 가운데 인간의 정서와 자유로움을 화성과 선율로 드라마틱하게 표현하는 바로크 사이다토토의 정수를 경험할 수 있다”고 했다.
![바로크 앙상블 일 가르델리노의 얀 드 비네(트라베르소), 김은식(바이올린), 코지 타카하시(첼로), 로렌조 기엘미(쳄발로) [마포문화재단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77d4e85a2d8a4ec7a8156715541be9a7_P1.jpg)
“다양한 해석 가능…재즈처럼 즉흥성도 필요”
“노련하고 품위 있는 연주자들. 마르셀 퐁셀과 얀 더 위너는 실망시키는 법이 없다.” (영국 그라모폰)
5명의 멤버로 출발한 일 가르델리노는 현재, 얀 드 뷔네와 마르세 퐁셀 등 9명의 핵심 멤버를 중심으로 점차 확장됐다. 멤버들은 대체로 20여년가량 서로 알고 지낸 사이. 앙상블엔 고사이다토토이 꽃을 피운 네덜란드, 벨기에와 같은 유럽은 물론 아시아 연주자들까지 함께한다. 김은식은 네덜란드 헤이그 왕립사이다토토원에서 일 가르델리노 멤버인 테라카도 료를 사사, 졸업 이후 2018년 앙상블의 공연과 음반 작업에 참여하며 앙상블의 멤버가 됐다.
얀 드 비네는 “ 다양한 문화가 적절히 섞인 멤버들이 바흐를 중심으로 뭉쳐, 각자의 문화적 배경과 해석 방식을 서로 부딪치며 풍부한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했다.
바로크 사이다토토은 ‘말하는 사이다토토’으로 불린다. 바로크 사이다토토을 마주할 때 연주자들은 수많은 대화의 순간을 만난다. 자기 자신과의 대화, 함께 연주하는 사람과의 대화, 사이다토토과의 대화다. 김은식은 “당시의 레토릭을 공부해 갈수록 사이다토토이 내게 말을 건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내적 친밀감이 큰 사이다토토”이라고 했다. 또 연주자에게도 이러한 대화의 순간이 끊임없이 요구된다. 코지 다카하시는 “연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함께하는 연주자들과 호흡하며 사이다토토을 대화처럼 나누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마주하는 가장 큰 기쁨은 ‘자유로움’이다. 작곡가들이 남긴 악보를 학자처럼 탐구하는 과정에서 사이다토토가들은 결국 자기 자신과 진짜 사이다토토을 만나게 된다.
“바로크 사이다토토에선 연주자의 개성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낭만 이후의 사이다토토보다 훨씬 자유로운 해석이 허락되지만, 단순히 악보에 쓰인 대로만 연주해서는 본래의 사이다토토적 언어를 제대로 전하기 어렵죠. 연주자의 취향과 개성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고, 즉흥성이 강조된다는 점에서 재즈와 닮았어요. 그래서 (바로크 사이다토토 연주자는) ‘좋은 취향’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김은식)
![일 가르델리노 공연 모습 [일 가르델리노 SNS]](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cb10212a6ccc4328ab62cf7fedfa99c6_P1.jpg)
일 가르델리노는 다른 바로크 사이다토토 단체처럼 작곡 당시에 사용한 악기로, 그 시대의 연주법과 해석을 꺼내는 ‘역사주의 연주’에 기반하는 앙상블이다. 특히 바로크 시대의 악기는 19세기부터 발전해 현재까지 사용하는 모던 악기들과 구조나 소리의 생산 방식, 조율 방법 등 모든 면에서 다르다. 기엘미는 “특정 시대의 사이다토토을 그 시대의 악기로 연주한다는 것은, 작곡가의 의도에 최대한 가까이 다가가려는 시도”라고 했다.
물론 ‘시대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과거를 복원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는 아니다. 김은식은 “중요한 것은 ‘법고창신’, 옛것 위에 오늘의 나만의 해석을 세워 나가는 것”이라며 “구분은 시대가 아니라, 악기가 가진 특성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핵심 멤버인 얀 드 비네와 마르셀 퐁셀은 두 사람이 연주하는 18세기 플루트와 오보에를 연주하며 원전악기 연구를 이어왔다. 얀 드 비네는 “사이다토토은 색채보다 언어라고 생각한다. 연주하는 악기가 해석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며 “바로크 플루트는 연주자에게 무엇이 가능한지 알려주고, 바로크 현악기의 거트현(양의 창자를 꼬아 만든 현)은 연주가 더 어렵지만 그만큼 깊고 풍부한 소리를 내준다”고 했다.
이를 통해 일 가르델리노가 지키고자 하는 사이다토토적 목표는 “기술적 완성도는 물론 매력적이고 생동감 있는 해석, 작곡가의 의도를 존중하는 연주를 잃지 않는 것”이다. 이 안에 ‘역사주의 연주’의 핵심이 담겼다. 대다수 오케스트라 공연이나 리사이틀처럼 ‘모던 악기’ 연주에 익숙해진 ‘현재의 관객’에게 고악기로 연주하는 사이다토토은 도리어 신선함을 준다.
“그 시대의 소리가 재현되도록 올바른 악기와 교본을 참고하고 18세기 연주 방식을 따른다는 원칙을 지키면서도, 관객이 박물관에 있는 느낌이 아니라 새롭고 신선함을 느끼도록 사이다토토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예요. 역사적 자료를 보면 인간의 감정과 표현은 시대를 초월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사이다토토은 불멸이고, 영원한 감동을 준다고 믿어요.” (얀 드 비네)
sh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