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신안군 한 토토사이트 위치에 상괭이 사체가 방치돼 있다.[녹색연합]](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84c9a960e27f42959e91ada38d93e8a8_P1.jpg)
[토토사이트 위치광우 기자] “토토사이트 위치으로 지정하면 뭐 하나”
바닷가에 방치돼 뼈만 남은 한 동물 사체.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고 있지만, 빠른 개체 수 감소로 인해 국가보호종으로 지정된 돌고래과 동물 ‘상괭이’다.
더 놀라운 것은 상괭이가 발견된 지역의 정체. 바로 ‘천혜의 자연’을 품어 유네스코 토토사이트 위치으로 지정된 전라남도 신안군의 한 섬이다.
이곳에는 상괭이 사체는 물론, 곳곳에서 밀려 들어온 각종 쓰레기 더미가 발견됐다. 토토사이트 위치이 관리되지 않은 상태로, 오염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
이는 신안군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립공원, 해양보호구역 등 관리가 필요한 해안 지역 90% 이상이 쓰레기에 뒤덮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존 가치를 인정받은 지역들이 되레 외면받고 있는 셈이다.
![전남 신안군 한 토토사이트 위치에 쓰레기가 쌓여 있다.[녹색연합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abed50012122450b87503dca8be152fe_P1.jpg)
녹색연합이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 전수조사에 나선 결과, 90% 이상의 조사 구역에 육·해상을 통해 유입·축적된 해양쓰레기가 축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10곳 중 9곳에서 쓰레기 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해양보호구역은 환경부가 관리하는 해상·해안국립공원과 해양수산부가 관리하는 해양보호구역, 국가유산청이 관리하는 자연유산 등을 비롯해 다양하다. 해역 전체 중에서는 약 1.8% 수준의 구역 만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토토사이트 위치에 쓰레기가 쌓여 있다.[녹색연합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6ff7522344934d1292040ec34c7b962a_P1.jpg)
하지만 관리 주체를 막론하고 쓰레기 관리는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다수 토토사이트 위치,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주요 섬,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서남해 갯벌 등 모든 구역에서 해양쓰레기가 발견된 것.
특히 토토사이트 위치자연유산인 전남 신안군의 상황이 심각했다. 신안 갯벌은 한국 전체 갯벌 면적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1000개가 넘는 크고 작은 섬으로 이뤄져, 갯벌과 습지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환경이 섞여 있다. 멸종위기 보호종 등 철새의 경유지로도 알려져 있다.
![전남 신안군 한 토토사이트 위치에 쓰레기가 쌓여 있다.[녹색연합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47eae9f85a2f46138732ff2d4534a493_P1.jpg)
하지만 신안군 토토사이트 위치은 유독 많은 쓰레기로 뒤덮여 있었다. 종류는 다양하다. 스티로폼과 플라스틱 폐어구를 비롯해 각종 생활쓰레기가 발견됐다. 꽤 오랜 기간 방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멸종위기종 상괭이 사체도 포착됐다. 적지 않은 기간 동안 관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
신안군 해수욕장의 경우 지자체 예산을 통해, 간헐적 수거가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도 발견되는 쓰레기양은 적지 않았다. 관광객의 접근이 어려운 토토사이트 위치의 경우 상황이 더 심각했다. 농약, 화학비료 등 유해 물질이 그대로 벼려져 있는 경우도 있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토토사이트 위치에 쓰레기가 쌓여 있다.[녹색연합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a6ff56097042421a8d85118688953248_P1.jpg)
관리가 이뤄지고 있는 보호구역도 존재했다. 인천 대이작도, 통영 연대도 등 일부 지역은 쓰레기 수거 등 정화 움직임이 있었다. 하지만 이 또한 지역 주민의 노력에만 기대는 수준. 인천 옹진군 대이작도의 경우 주민들이 직접 해양쓰레기를 수거해 쌓아두고 있지만, 육지로의 수거가 1년에 한 번도 진행되지 않는 상황이었다.
실제 한국의 쓰레기 관리 체계는 ‘육상’과 ‘해양’으로 나뉜다. 육상에서 기인한 쓰레기는 비교적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지만, 해양쓰레기는 예산 부족 등 원인으로 처리가 순탄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속해서 유입과 축적이 반복되는 사례가 포착되는 이유다.
![전남 신안군 한 토토사이트 위치에 쓰레기가 쌓여 있다.[녹색연합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49df9ed85f22416099e9610c6d765483_P1.jpg)
해안에서 수거되지 않은 쓰레기는 결국 ‘해양 오염’을 초래한다. 특히 플라스틱 쓰레기의 경우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돼 다시 바다에 유입된다. 이후 플랑크톤, 조개류 등 먹이사슬 하위단계부터 축적돼 해양생태계 전반으로 확대된다.
이후 수산물을 섭취하는 인간의 몸에까지 축적돼,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실제 해산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남해안에서 양식되는 굴에서 한 개체당 11.2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도 나온 바 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토토사이트 위치에 쓰레기가 쌓여 있다.[녹색연합 제공]](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5/10/01/news-p.v1.20251001.6befab42043d460a8ec1d7fed11c89be_P1.jpg)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고 있는 단계다. 하지만 다수 연구에서 세포 손상 및 독성을 유발하고, 과도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혈액 속에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될 경우에는 염증을 유발하거나, 혈액 응고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녹색연합 관계자는 “해양쓰레기는 고질적인 예산 부족과 허술한 관리 체계 탓에 유입과 축적이 지속되고 있다”며 “해양수산부, 환경부, 국가유산청 등 각 해양보호구역 관리 주체는 해양쓰레기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보호구역에 걸맞은 관리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w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