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기·유영국·이우환·박서보 등 총출동

국현 소장전·갤러리현대 기념전 동시 개최

한국 현대 게임룸 토토 추상 계보 확인할 수 있어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 서울관에서 열린 소장품 상설전 ‘한국현대게임룸 토토 하이라이트’ 전시 전경. 중앙에 김환기 ‘산울림 19-II-73#307’(1973)을 비롯해 우측과 좌측에 이성자 ‘천년의 고가’(1961), 최욱경 ‘미처 못 끝낸 이야기’(1977) 작품이 소개된 모습.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 서울관에서 열린 소장품 상설전 ‘한국현대게임룸 토토 하이라이트’ 전시 전경. 중앙에 김환기 ‘산울림 19-II-73#307’(1973)을 비롯해 우측과 좌측에 이성자 ‘천년의 고가’(1961), 최욱경 ‘미처 못 끝낸 이야기’(1977) 작품이 소개된 모습.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지금 서울 삼청동은 ‘어벤저스’라 불러도 손색없는 한국 현대게임룸 토토 거장들의 작품들이 총출동한 전시장이다. 김환기, 남관, 유영국, 한묵 등 전후 1세대 추상화가들의 작품을 비롯해, 특정 화단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언어를 만든 여성 추상화가 이성자, 그리고 새로운 추상회화 개념을 제안한 이우환, 박서보, 정상화, 윤형근의 단색화 회화까지. 그야말로 굵직한 이름들의 ‘억’ 소리 나는 회화들이 한데 모였기 때문이다.

‘키아프리즈(키아프+프리즈) 기간’도 아닌데, 한 시대를 흔든 예술가들이 나란히 등장한 보기 드문 장면이 펼쳐지고 있다.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이 야심 차게 선보인 소장품 상설전 ‘한국현대게임룸 토토 하이라이트’와 개관 55돌을 맞은 갤러리현대의 기념전 ‘한국 현대게임룸 토토의 서사 2부’가 그 무대다. 두 전시를 따라 걷다 보면 한국 추상의 계보와 그 울림이 또렷하게 다가온다.

서울관 개관 이래 처음으로 상설전을 선보이는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은 1960년대에서 2010년대에 이르는 한국 현대게임룸 토토 대표작 86점을 엄선해 소개하고 있다. 이 가운데 ‘추상’과 ‘실험’을 주제로 한 전시실은 마치 돋보기로 들여다보듯, 갤러리현대의 전시와 맞물려 더욱 깊은 감상을 유도한다. 갤러리현대 본관에는 현대게임룸 토토사에서 완전한 추상 양식을 일군 작가로 손꼽히는 22명의 대표작 40여 점이 걸렸다.

55주년 ‘한국 현대게임룸 토토의 서사’ 2부 전시 전경. 김환기 작품이 소개된 모습. [갤러리현대]
55주년 ‘한국 현대게임룸 토토의 서사’ 2부 전시 전경. 김환기 작품이 소개된 모습. [갤러리현대]
55주년 ‘한국 현대게임룸 토토의 서사’ 2부 전시 전경. 유영국과 이성자 작품이 걸려 있는 모습. [갤러리현대]
55주년 ‘한국 현대게임룸 토토의 서사’ 2부 전시 전경. 유영국과 이성자 작품이 걸려 있는 모습. [갤러리현대]

게임룸 토토관과 갤러리에 걸린 작품 구성도 다채롭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유족 측이 지난 2021년 게임룸 토토관에 기증한 ‘이건희 컬렉션’은 물론, 개인 소장자가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한 귀한 작품들까지 좀처럼 보기 어려웠던 대표작들이 게임룸 토토관과 갤러리 전시장을 채우고 있어서다.

단연 인기 있는 작품은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 전시장을 여는 입구에서 만나는 유영국 ‘작품’(1965)과 김환기 ‘산울림’(1973). 두 작품 모두 이건희 컬렉션이다. 유영국은 김환기 등과 함께 한국 최초의 추상게임룸 토토 단체인 신사실파를 결성해 일찌감치 추상 언어를 개척한 선구자다. 실제로 색면 간의 대비와 균형이 강조된 유영국과 전면 점화 작업에 몰두한 김환기의 각 작품 앞엔 유독 발길을 멈추는 관람객이 많다. 두 작가가 한국에서 사랑받는 화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이유가 말없이 전해지는 화면에서 단단하게 드러난다.

이성자는 여성성과 모성, 대지의 생명력과 우주를 주제로 작업한 한국의 손꼽히는 여성 추상화가다. 현대화랑(갤러리현대 전신)의 박명자 회장이 1965년 서울에서 개최된 그의 작품전을 처음 보고 “추상회화의 힘을 알아보게 됐다“고 회고했을 정도다.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에 걸린 ‘천년의 고가’(1961)와 갤러리현대에서 만날 수 있는 ‘미스테리한 세 가지 초상’(1962) 모두 차곡차곡 쌓아 올린 마티에르(matière, 재질)가 시선을 붙든다.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 서울관에서 열린 소장품 상설전 ‘한국현대게임룸 토토 하이라이트’ 전시 전경. [뉴시스]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 서울관에서 열린 소장품 상설전 ‘한국현대게임룸 토토 하이라이트’ 전시 전경. [뉴시스]

글로벌 게임룸 토토시장에서 ‘한국성’ 담론과 연결돼 검증된 윤형근, 박서보, 이우환, 하종현의 단색조 회화도 모처럼 한자리에 모였다. 단색조 회화는 1970년대 후반부터 다양한 기획전과 개인전에서 소개되기 시작했는데, 당시만 해도 김창열의 물방울 시리즈가 아닌 작업이라는 점에서 대중에게는 그저 낯설기만 한 회화였다. 그러나 2000년대부터는 한국을 대표하는 모더니즘 회화로 인정받았다.

동시대 게임룸 토토을 보여주는 작가의 작품들 면면도 다채롭게 살펴볼 수 있다. 올해 2월 독일현대게임룸 토토관 함부르거 반호프에서 개인전을 열고, LG 구겐하임 어워드 수상과 더불어, 오는 11월 뉴욕현대게임룸 토토관 PS1에서 개인전을 여는 김아영이 대표적이다.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에서 상영 중인 그의 영상 작품 ‘다공성 계곡2: 트릭스터 플롯’(2019)과 갤러리현대 신관에 걸린 그의 2000년대 사진 작업을 비교해 보며 그만의 독특한 표현 기법과 작품의 맥락을 찾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국립현대게임룸 토토관 전시는 내년 5월 3일까지. 갤러리현대 전시는 오는 16일까지.


dsu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