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럽 조사…4년9개월 만 10%대
민주당 43%…24%p 격차 커져
PK 이어 ‘보수 심장’ TK도 열세
계파 갈등·혁신 지연 원인 지목

국민의힘이 2020년 당명 개정 이후 최악의 ‘토토사이트 계정탈퇴 19%’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작년 12·3 비상계엄 사태에도 결집했던 지지층이 대선 패배 책임론 공방과 계파 갈등, 혁신 지연에 실망하며 등을 돌렸다는 분석이다. 사상 초유의 3특검(내란·김건희·해병대원) 정국과 다음 달 전당대회를 앞두고 깊어지는 계파 갈등으로 당분간 토토사이트 계정탈퇴 침체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국갤럽이 지난 8~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1일 발표한 정당 지지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힘 토토사이트 계정탈퇴은 19%를 기록했다(응답률 11.7%). 더불어민주당은 43%로 양당 격차는 무려 24%포인트(p)다. 같은 조사에서 국민의힘 토토사이트 계정탈퇴이 10%대로 떨어진 건 지난 2020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7~9일 전국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의 정당 토토사이트 계정탈퇴도 조사에서도 국민의힘은 민주당에 26%p 뒤쳐진 19%로 집계됐다(응답률 19.9%).
문제는 보수 진영의 핵심 지역·연령 토토사이트 계정탈퇴 기반까지 흔들렸다는 점이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보수 토토사이트 계정탈퇴 성향이 강한 70세 이상 응답층은 민주당 34%, 국민의힘 33%로 나타났다. 부산·울산·경남(PK)에서는 민주당 36%, 국민의힘 27%로 뒤쳐졌다. ‘보수의 심장’ 대구·경북(TK)에서까지 전주 대비 8%p 하락한 27%를 기록, 민주당(34%)에 우위를 내줬다.
당내에선 충격보다 무력감이 더 크게 감지된다. 한 수도권 의원은 “당이 이 꼴이니까 그런 토토사이트 계정탈퇴이 나오는 것”이라며 “(계엄에도 불구하고) ‘이재명’이란 상대가 있었기에 결집했던 지지층이 대선 패배 이후에도 우리끼리 싸우기 바쁜 모습에 실망해 떠난 것”이라고 말했다. 한 영남권 의원은 “사태가 지나갈 때까지 관망하면서 나서지 않으려는 분위기가 가득하다. 상황이 금방 나아질 것 같지가 않다”고 했다. 한 의원실 보좌진은 “(이재명 정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각종 의혹이 나오고 있는데도 여론에서 밀리고 있다”며 “국민의 관심에서 점점 밀려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야권을 겨냥한 특검 수사가 본격화하면 토토사이트 계정탈퇴 추가 하락을 각오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온다. 3개 특검이 동시 가동되는 초유의 상황에서 특검의 칼날이 어디까지 향할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당내에선 계엄 사태 당시 당 지도부와 올해 초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체포영장 기한 만료 당일 한남동 관저를 찾은 의원 45명 전원이 수사 대상에 오를 수 있다는 우려 섞인 관측이 공유되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특검끼리도 성과를 경쟁하면서 공격적으로 수사를 할테고, 그러다보면 우리 당 의원들이 불려갔다는 언론 보도도 나오기 시작할 것”이라며 “(토토사이트 계정탈퇴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권 경쟁까지 계파전 구도로 치러질 경우 내홍만 심화되고 토토사이트 계정탈퇴 침체가 장기화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당권 도전 의사를 밝힌 안철수·조경태 의원은 인적 청산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당 주류이자 절대 다수인 옛 범친윤(친윤석열)계를 중심으로 반발이 나오고 있어서다.
토토사이트 계정탈퇴 하락이 가시화하면서 당 혁신위의 혁신안 논의도 보다 강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혁신위는 전날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계파 중심 당 운영, 대선 후보 강제 단일화 시도 등에 대한 사과를 담은 ‘국민과 당원에게 드리는 사죄문’ 발표를 1호 안건으로 의결하고, 당헌·당규 명문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앞서 인적 청산 문제와 관련해 “국민이나 당원이 원하는 대로 하는 게 당연하다”고 했다. 혁신위원인 호준석 대변인은 “그 부분에 대해선 이후 논의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인용된 여론조사는 모두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진 기자
soho0902@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