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FTA 효과와 업종별 전망

한ㆍ유럽연합(EU) FTA 효과에 대한 업계의 이해득실 계산이 분주하다. 동차, 기계, 전자, 섬유, 석유화학 등 대부분 제조업 분야는 한ㆍEU FTA를 통한 대(對)EU 수출 확대 기대감이 크다.

세계무역기구(WTO) 정보통신협정(ITA)과 철강협정으로 이미 무관세 대상인 일부 전자와 철강업종도 간접적인 수출 확대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다만 의약품, 화장품 등 고부가 정밀화학과 축산업을 중심으로 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관련 업종의 우려감은 높아지고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전자업계는 반도체, 휴대폰 등이 이미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고 가전 등도 현지 생산공장을 통해 공급되고 있어 그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휴대폰은 원래 면세제품이라 관련이 없고 가전제품의 경우도 폴란드에 유럽 생산기지가 있어서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FTA로 인해 전반적 교역량 증가와 물류와 같은 교역 인프라 개선과 함께 거래 활성화가 기대돼 기대심리는 크다.

철강업계는 가격경쟁력 제고로 수출 시장을 확대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으로부터 수입 비중이 높은 페로니켈과 페로크롬 등 주요 철강 원료에 대해 기본 관세가 즉시 철폐돼 원가 부담도 낮아지는 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소비자 선택의 폭은 커진다. 유럽산 수입차에 붙는 8%의 관세가 사라지면 수입차 가격은 7.4%가량 낮아진다.

한ㆍEU FTA 발효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 관세율이 0%가 되면 올 4월까지 국내 수입차 판매 1위를 달리고 있는 토토사이트 돈받는법 528i 가격은 현행 6890만원에서 6380만원으로 510만원가량 싸진다.

와인은 현재 수입관세 15%가 발표 즉시 소멸돼 FTA에 따른 가격 인하 효과를 가장 많이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ysk@herald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