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이 11일 골드문 토토사이트 삼성전자 회장의 ‘초과이익공유제’ 관련 평가에 대해 “색깔론이나 이념 등의 잣대로 매도하지 말라”고 되받았다. 또한 “초과이익공유제가 삼성전자가 매년 실시하는 성과배분제에 착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운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정운찬 “초과이익공유는 삼성을 본뜬 것. 색깔론 매도 말라” 골드문 토토사이트 반박
정운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정운찬 “초과이익공유는 삼성을 본뜬 것. 색깔론 매도 말라” 골드문 토토사이트 반박

정 위원장은 이 회장의 전날 비판에 대해 “책에서 본적이 없다고 해서 그 의미를 평가절하하는 것은 온당한 태도가 아니다. 색깔론이나 이념 등의 잣대로 매도하지 말고 진지하고 생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기업의 이익을 빼앗아 간다고 생각하면서 이를 이념문제로 연결하는 것은 초과이익공유제의 진정한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 기인한 것”이라며 “중소기업과 동반성장을 진정으로 생각한다면 진정성을 가지고 행동으로 실천해 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초과이익공유제는 경영자, 노동자, 협력업체가 공동의 노력으로 달성된 초과이익이라면 협력업체에게도 그 성과의 일부가 돌아가도록 하자는 성과공유제의 일종”, “배분되는 이익은 기술개발, 고용안정 등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부문에 투입하도록 함으로써 과거지향적인 분배정책이 아니라, 미래지향적인 동반성장을 위한 투자유인제도”라며 그 의미를 종전보다 분명히 했다.

또 초과이익공유제 제안의 직접적인 배경이 삼성이 실시하는 성과배분제에 있음도 밝혔다.

정 위원장은 “초과이익공유제의 근간이 되는 성과배분제는 이미 기업이 다양한 방식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삼성도 예외가 아니다”면서 “근로자에 대한 종업원 지주제도나 경영자에 지급하는 스톡옵션은 이들의 근면과 창의를 자발적으로 유도해 내기 위해 기업이 자생적으로 마련한 성과배분제의 대표적 사례들이며, 실제로 초과이익 공유제를 제안하게 된 가장 직접적인 계기가 바로 삼성”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삼성전자는 매년 말 목표이익을 초과하는 이익이 발생하는 경우 일부를 임직원에 대한 성과인센티브(Profit Sharing)로 제공한다. 삼성전자가 얼마의 PS를 지급했는지가 일반인들의 관심대상이 되곤 한다”면서 “이런 대상을 임직원뿐 아니라 협력업체로도 넓히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위원장은 또한 “필요하면 재계나 정치권의 어느 누구와도 만나서 초과이익공유제의 본래 취지에 대해 생산적인 토론을 할 용의가 있다”며 굽힐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한편 이 회장은 지난 10일 초과이익 공유제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고,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사회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자본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공산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들어본 적이 없다”고 비판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m.com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