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예술 담은 ‘박서보의 말’ ‘박서보’ 출간
한국어판·영어판 동시에…내년 미술관 개관

“변하지 않으면 추락한다. 그러나 변하면 또한 추락한다.”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박서보(1931~2023) 화백의 삶과 예술 세계를 조망한 두 권의 책이 26일 전 세계에 동시 발간됐다. 박서보 화백이 직접 기록한 자서전 ‘박서보의 말’(사진 오른쪽)과 그의 예술적 여정을 시각적으로 재구성한 그래픽 노블 ‘박서보’(왼쪽)다. 박서보재단은 한국어와 영어 두 가지 언어로 제작한 책 세트를 세계 미술애호가와 일반 독자에게 선보였다.
박서보 화백의 아들인 박승호 박서보재단 이사장은 지난 24일 서울 연희동 박서보재단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작업대를 정리하다 수정하시던 원고들을 발견했다. 마무리되지 않았지만, 어떤 형식으로든 세상에 소개하는 게 좋겠다 싶어 자서전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박서보 화백이 남긴 원고 중에는 한국 현대미술사와 관련된 인물과 이야기가 많이 등장하는데, 미술 애호가가 아닌 일반인이 보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어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보완하는 차원의 그래픽 노블도 함께 내기로 했다.
먼저 ‘박서보의 말’은 작가가 생전에 직접 집필해 온 원고를 바탕으로, 1980년대 초반까지 예술적 삶과 예술인으로서의 성장 호빵맨토토을 담았다.
그에게 그림은 이미지를 표현하는 매체가 아니라 선 긋기를 반복하는 호빵맨토토에서 스스로를 비워내는 수신(修身)의 도구였다. 1967년 시작된 연필 묘법에선 연필로 선을 긋고 지우는 것을 반복하는 비움에 집중했고, 1980년대부터는 반복적으로 선을 긋는 행위와 한지의 물성이 합일을 이루는 한지 묘법을 선보였다. 2000년부터 시작한 색채 묘법은 자연의 색으로 현대인의 마음을 치유한다.
박서보 화백은 병마에 시달린 말년까지도 붓을 놓지 않았다. 연필색채 묘법, 신문지연필 묘법과 같은 새로운 방식으로 작품을 이어 갔다. 세상을 떠나기 전날에도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며 캔버스를 배접해 놓으라고 말할 정도였다.
“내 나이 내일모레면 아흔이다. 그래도 변호빵맨토토 한다. 앉아서 추락할 수는 없다. 젊어서 뜻을 함께했던 사람들이 하나둘 사라지고 없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나는 지금 한창 숙성 중이다”라는 말을 비롯해 그가 남긴 기록은 예술을 향한 그의 헌신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그래픽 노블 ‘박서보’는 과학 분야를 그려 온 조진호 작가가 맡아 박서보 화백의 어린 시절부터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를 시각적 언어로 풀어냈다.
출판은 한국어판과 영어판을 동시에 발매하고, 해외 시장 유통을 위해 이탈리아 스키라(SKIRA) 출판사와 손을 잡았다.
책을 편집한 박승호 이사장은 “아버지의 원고들을 정리하면서 전혀 알지 못했던 한 사람의 개인사를 조립해 나가는 느낌이었다. 해석이 어려울 때마다 아버지를 떠올리면서 아버지의 관점으로 생각해 봤다”며 “아버지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이 많이 생각나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박서보재단은 2019년 설립 이후 작가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작업도 꾸준히 진행해 왔다.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거의 마친 상태로, 전작 도록을 만드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아울러 내년에는 박서보재단 옆에 ‘박서보미술관’을 개관할 계획이다. 지하 2층·지상 3층 규모의 건물을 모두 전시 공간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내년 초 준공을 시작해 이르면 내년 말께 개관할 예정이다. 김현경 기자
pin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