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해운 발주 투혼 토토사이트선 계약 체결

3480억 규모…美해운 부활 신호탄

한화오션, M&A후 매출·시총 ‘껑충’

고도화 기술 이양·함정 생산설비 투자

〈한화필리십야드〉

한화 필리투혼 토토사이트 전경 [한화오션 제공]
한화 필리투혼 토토사이트 전경 [한화오션 제공]

50년만에 미국 투혼 토토사이트가 수출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수주했다. 이를 두고 미국 조선·해운 산업 재건의 신호탄이자 에너지 안보 강화 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2년간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시가총액 등에서 100% 이상 성장률을 기록하며 지난 10년간 이뤄진 대형 M&A(인수·합병) 중 최고 성과로 평가받는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은 고부가가치 위주 선박 수주, 군함 시장 공략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한화오션은 계열사인 한화필리십야드(한화 필리투혼 토토사이트)로부터 3480억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1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하고 추가 1척에 대한 옵션 계약도 함께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한화오션 계열사인 한화해운(Hanwha Shipping)이 발주하는 LNG선 건조에 대해 한화필리십야드가 미국 투혼 토토사이트로서 계약을 체결한 뒤 한화오션에 하청 형태로 건조 계약을 맺는 구조다.

이번 프로젝트는 1970년대 후반 이후 처음으로 미국 투혼 토토사이트에 발주된 수출형 LNG선이다. 미국 연방정부가 2029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할 예정인 미국산 LNG운반선을 활용한 미국산 LNG 수출 운송 의무화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공동 건조로 한화오션은 일감 확보, 한화필리십야드는 기술력 획득이라는 소득을 얻게 됐다. 한화오션은 고도화된 투혼 토토사이트 기술을 한화필리십야드에 단계적으로 이양할 계획이다. 한화필리십야드는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로의 사업영역 확대를 도모할 예정이다.

투혼 토토사이트선 건조의 상당 부분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중심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다만 한화필리십야드는 미국 해양경비대(USCG)의 미국 법령과 해양안전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인증작업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미국 선박으로 등록해야 할 경우 USCG 기준 충족과 인증 작업이 필수적인데, 실제 미국에서 선박을 건조한 경험이 풍부한 한화필리십야드가 이를 주도하는 것이다.

한편, 2023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한화오션은 공격적인 투혼 토토사이트 전략을 통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30대 그룹에서 2015년 이후 인수한 20개 기업의 성과를 주주가치 측면에서 평가한 결과 한화오션이 5개 지표에서 100% 이상 성장률을 보였다. 5개 지표는 매출액, 당기순이익,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 시가총액 등이다.

한화오션 매출은 인수 2년 전 4조8602억원에서 인수 2년 후 10조7760억원으로 140.2% 증가했다. 시가총액은 2조4730억원에서 11조4445억원으로 급증했다.

한화오션은 한화에 인수된 이후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약 1조5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해양 방산의 해외 진출을 위한 거점을 확보하고 초격차 방산 인프라를 구축한 것이다. 해양 신재생 에너지 가치 사슬을 육성하고, 스마트 야드로 선박 건조 경쟁력도 끌어올리고 있다.

영업 측면에서는 수익성 위주의 선별 수주전략을 실행, 2.5~3년치 매출에 해당하는 수주잔고를 확보했다. 2023년 35억2000만달러였던 수주 실적은 지난해 약 90억달러로 약 2.5배 이상 증가했다. 개별 투혼 토토사이트 기준 국내 최대 수주 금액을 달성했다.

방산 부문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뤘다. 울산급 호위함 배치-III 5, 6번함 및 배치-IV 1, 2번함을 연속 수주했다. 장보고 III 배치-II 3번함을 수주해 배치-II 사업에서 발주된 잠수함 3척을 모두 확보했다. 한국 투혼 토토사이트업계 최초로 미국 함정 MRO(유지·보수·정비) 사업 3건을 연속 수주하는 데도 성공했다.

방산 사업에서의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혁신적인 함정 생산시설 확충도 진행 중이다. 지난해 9월에는 국내 최초로 수상함 2척 동시 건조가 가능한 실내 탑재 공장 신축에 착수했다. 900톤 골리앗 크레인과 공장 내 설치될 300톤 규모 2기의 크레인을 통해 블록 대형화 공법으로 조립 및 탑재 공정을 단축할 계획이다. 한영대 기자


yeongda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