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활용한 3D 스캔 도입으로 시공 관리 혁신도

금호건설의 자체 BIM과 3D 스캔칼리토토 적용 이미지. [금호건설]
금호건설의 자체 BIM과 3D 스캔칼리토토 적용 이미지. [금호건설]

[헤럴드경제=정주원 기자] 금호건설이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자체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칼리토토 구축을 완료했다.

BIM은 건축물의 설계·시공·유지관리 전 과정을 3차원 모델과 정보 데이터로 통합 관리하는 칼리토토이다. 건물을 3D로 보여주면서 시간과 필요한 정보를 함께 담은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칼리토토은 설계 오류를 예방하고 시공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며,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협업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BIM 작업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기준과 ▷디지털 소스 ▷템플릿 ▷알고리즘 등을 통칭해 BIM 칼리토토이라 부른다.

금호건설은 이번 연구를 통해 국토교통부의 칼리토토 지침을 보완한 사내 칼리토토 기준과 지침을 정립하고, 칼리토토 수행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구축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확보했다.

특히 설계 검토와 수량 산출 업무에 자동화 알고리즘을 개발해 작업 시간을 최대 50% 단축했으며, 자체적인 공통 데이터 환경의 협업 체계 마련으로 실시간 데이터 공유와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할 수 있었다.

또한 드론을 활용한 3D 스캔 칼리토토을 도입하고 관련 매뉴얼을 정비해 현장 누구나 손쉽게 첨단 칼리토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연구는 금호건설의 자체적인 칼리토토을 구축한 것으로, BIM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요소이자 지속적인 기술 축적과 개선을 이끄는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된다.

금호건설은 개발된 기술을 현장에 적극 활용하면서 실효성을 지속해서 높일 계획이다. 금호건설 관계자는 “이번 BIM 칼리토토 구축은 단순한 도구 도입을 넘어 디지털 건설 전환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며 “데이터 품질 개선과 반복 작업 감소 등 기존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BIM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혁신을 꾸준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jookapooka@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