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과 주요 대학 총장 간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 부담 완화 간담회에서 총장들은 “대학 지원 강화가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반값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을 정치적 논리로 풀지 말라는 반발인 셈이다.

간담회에는 김선욱(이화여대) 김영길(한동대) 김윤수(전남대) 김한중(연세대) 박철(한국외대) 부구욱(영산대) 이광자(서울여대) 이남식(전주대) 이영선(한림대) 이효수(영남대) 장영태(홍익대) 한영실(숙명여대) 총장이 참석했다.

다음은 민주당 이용섭 대변인이 전한 대학 총장의 주요 발언이다.

▶A총장=한국은 고등교육에 대한 투자비율이 GDP(국내총생산) 대비 0.6%이지만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은 1.2%다. 대학이 적립금을 유용하게 쓰는 방안도 연구하겠지만, 정부도 1.2% 수준으로 대학에 지원해야 한다.

▶B총장=특정한 목적에 쓰려고 적립한 적립금을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 인하에 쓰는 것은 문제가 있다. 대학 기부금에 대한 세제혜택 등의 지원으로 정부가 뒷받침해주면 사립대도 (반은 어렵지만)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을 10%씩이라도 낮추도록 노력하겠다.

▶C총장=어느 날 갑자기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을 반값으로 낮춘다고 하니 황당하다. 2~3년 시간을 갖고 검토해줬으면 한다. 알뜰살뜰 적립금을 모은 것인데 언론을 보면 마치 대다수 대학이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을 적립금으로 전출한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은 일부 대학에 불과하다.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 내리는 문제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하면 고등교육을 합리적, 실질적으로 시킬 것인가가 중요하다

▶D총장=정치권에서 관심을 갖는 것 좋다.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해결 당사자는 대학이란 것을 생각해줬으면 좋겠다.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 정치권에서 지원하는데 신경을 써주시되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의 주체는 당사자가 대학이라는 생각을 가져줬으면 좋겠다.

▶E총장=이해할만한 수준의 인하된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이 제시되지 않으면 엄청난 혼란과 마찰이 있을 것 같다. OECD 국가 중 국가가 이렇게 취약하게 고등교육 지원하는 나라가 어디에 있나. 80%나 맡기는 나라가 어디있나. 대학에 대한 지원 강화 문제를 반드시 함께 검토해야 한다.

▶F총장=반값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은 다수결이나 정치적 논리에 의해서만 결정될 문제가 아니다. 고등교육에 대한 정부지원의 강화가 본질이다. 현재 사립대의 절반 수준인 국공립대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만 다시 절반으로 먼저 내리면 사립대 4분의 1 수준이 돼 형평의 문제가 있다. 지방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이 더 싸다. 반값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 검토할 때 격차가 있다는 것도 검토해달라. 그리고 적립금 많이 쌓은 대학을 매우 부정적으로 언론 보도 비난하는데 이건 맞지 않다. 세계적 경쟁력 가진 대학 육성 위해 적립금 필요하다.

▶G총장=마치 지금 적립금 많은 대학이 문제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우리 대학이 적립금 많다. 선배들이 전략으로 쌓아온 것이고 앞으로 적립금이 많다는 것을 신입생들에게 홍보할 것이다. 적립금이 그리 나쁜 것 아니니까 오해 없길 바란다.

▶H총장=과연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이 비싼 게 문제냐. 지금 국립대학보다 더 비싼 돈 주고 해외 유학가고 있지 않느냐. 초중등교육에만 지원하지 고등교육은 빈약하다.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만 낮추려고 하지 말고, 정교한 지원 부탁한다.

▶I총장=우리 경제 상황을 볼 때 우리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이 높은 게 맞다. 그런데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문제다. 미국 보면 기업들이 기부를 많이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재정지원이나 기업 기부금 늘려서 전체적 파이 늘리되 그 파이 속에서 분배를 잘해야 한다.

▶J총장=적립금 재원은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에서 나온 게 아니다. 옳은 정보가 아니다. 대학의 교육 문제를 꼭 민생의 문제로만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 대학경쟁력 차원에서도 봐줘야 한다. 지금 학생들이 학부모들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꼭 웹툰사이트 토토사이트이 높아서라기보다 교육의 질이 떨어지고 졸업해도 취직이 안되기 때문이다.

▶K총장=능력이 있는데 돈이 없어서 대학에 못가는 학생들을 대학이 해결해주는 대책이 돼야지, 능력이 없는데도 다 대학 가는 게 맞는 것이냐. 고등교육이 무상교육으로 가야되는 것은 아니다.

서경원 기자 gil@herald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