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로 수석 이코노미스트 지적

“시총 상위 10개 기업 과거 버블보다 더 고평가”

[챗GPT를 사용해 제작함, 신동윤 기자 정리]
[챗GPT를 사용해 제작함, 신동윤 기자 정리]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최근 미국 뉴욕증시에서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버블(거품)이 지난 1990년대 말 발생했던 ‘정보기술(토토나라 먹튀검증사이트 ) 버블’ 때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월스트리트 전문가의 경고가 나왔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자산운용사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의 토르스텐 슬록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6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1990년대 토토나라 먹튀검증사이트 버블과 현 AI 버블의 차이점을 들자면 현재 뉴욕증시 시총 상위 10개 기업이 1990년대 상위 10개 기업보다 더 고평가됐다는 점”이라며 이처럼 경고했다.

슬록 이코노미스트의 이 같은 지적은 미국의 주가지수가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다시 전고점을 돌파하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나왔다.

슬록 이코노미스트가 공개한 뉴욕증시 상위 10개 기업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은 30배에 육박, 25배 언저리였던 2000년 토토나라 먹튀검증사이트 버블 정점 시기를 능가했다.

최근 2년여간 뉴욕증시 강세장은 ‘AI 열풍’에 힘입어 엔비디아를 필두로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빅테크(대형 기술기업)가 이끌어왔다.

AI 반도체의 절대 강자인 엔비디아는 전 세계 기업 중 사상 최초로 최근 시총 4조달러(약 5550조원)를 돌파하기도 했다.

다만, 월가에서는 현재 대형 빅테크의 주가가 역사적 기준으로 볼 때 매우 비싸다는 데 공감하면서도 2000년 토토나라 먹튀검증사이트 거품 붕괴와 같은 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작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존 히긴스 캐피털 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오늘날 AI 기업 주가의 상승은 평가가치 상승보다는 기업이익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며 “미 증시가 내년 말까지 빅테크 부문을 필두로 강세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16일(현지시간) 미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31.49포인트(0.53%) 오른 4만4254.7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9.94포인트(0.32%) 오른 6,263.7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52.69포인트(0.25%) 오른 2만730.49에 각각 마감했다.

이날 상승으로 나스닥 종합지수는 최고치 기록을 또 다시 경신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